본문 바로가기

청년정책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반응형

2023 청년정책 중 가장 HOT한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6월1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가입조건과 신청기간 및 은행별 이자 등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가입자가 5년동안 매월 70만원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개인소득수준과  납임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지원하며,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제공하고 있습니다. 

 

 

>  즉 청년도약계좌란 

납입금액(5년) + 정부기여금 및 관련이자 + 이자소득비과세 혜택 최대 5천만원 목돈 만들기 PROJECT!

 

 

 

 

2. 가입대상 및 신청조건

     나이 : 만 19세 ~ 34세 청년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추가 인정)

     소득 :  (개인소득) 총급여액 7,500만원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종합소득) 직전 3개년도 1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3. 가입기간  

① 23년 6월

- 2023년 6월 15일~ 2023년 6월 23 ( 가입신청)

- 첫 5 영업일(6/15~21일) 출생연도 기준으로 5부제 가입신청 가능

- 6월 22/23일 출생연도와 상관없이 가입 가능

- 2023년 6월 26일 ~ 2023년 7월 7일 (가입심사)

- 2023년 7월 10일 ~ 2023년 7월 21일 (계좌개설)

 

① 23년 7월

2023년 7월 3일~ 2023년 7월 14일 ( 가입신청)

   * 5부제 진행 없이 모두 가입신청 가능

- 2023년 7월 17일 ~ 2023년 8월 4일 (가입심사)

- 2023년 8월 7일 ~ 2023년 8월 18일 (계좌개설)

 

 

 

 

4. 혜택 (이자 및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 혜택은 3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납입금액에 대한 이자(은행)/ 개인소득에 따른 정부기여금/ 이자소득 비과세 입니다.

정부 기여금 + 비과세혜택 +은행이자 를 모두 계산하면 금리 연 7.6~8.8%의 일반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것과 같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① 은행 이자

주1)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이후 변동금리 적용),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주2)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
       *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주3) 우대금리 항목은 은행마다 상이하며, 적용 가능 여부는 은행별 홈페이지, 어플 등을 통해 추후 확인 가능

 

 

>> 은행별 우대금리 상세내용은 확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https://ddockddockddock.tistory.com/3

 

청년도약계좌 은행별금리 비교

똑똑똑! 청년도약계좌가 오픈했어요! 청년도약계좌 2편에서는 은행마다 다른 기본금리, 우대금리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려고해요! 은행별 금리 요약 *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3년은 고정금리 이

ddockddockddock.tistory.com

 

② 개인소득에 따른 정부기여금

개인소득별 정부지원금 지급구조

 

③ 이자소득 비과세

현재 시중은행 정기적금 평균금리와 유사한 4% 일반적금에 경우 이자소득세(15.4%) 66만원,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혜택인 7% 금리로 일반적금을 가입할 경우 이자소득세 122만원 정도가 세금으로 납부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에 경우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적용을 받기 때문에 세금이 0원입니다. 

 

 

 

5. 청년도약계좌 예상 금액

핀다에서 청년도약계좌 개설을 위한 자격 적합성과 예상과 이자등을 예상해주는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이/ 소득/ 가구원수 등을 넣으면 정부기여금/은행이자를 계산해줍니다.

https://finda.co.kr/finance/calculator/youth-leap

 

대출비교플랫폼, 핀다

가장 유리한 대출 조건 찾고, 더 낮은 이자로 갈아타기

finda.co.kr

 

 

6. 중도해지 지원 여부

해지 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혜택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요건은 1)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2)가입자의 퇴직, 3)사업장의 폐업, 4)천재지변, 5)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 및 5)생애최초 주택구입에 해당합니다.

 

 

반응형